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지역에 위치한 보로부두르(Borobudur)는 세계 최대의 불교 사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8세기말에서 9세기 초에 걸쳐 건립된 이 거대한 석조 사원은 단순한 종교 건축을 넘어 불교 철학, 인도네시아 문화, 천문학, 예술이 결합된 복합 유산입니다. 보로부두르는 단지 불교도의 순례처일 뿐 아니라, 전 세계 관광객, 건축가, 종교 연구자들에게 건축적 경이와 정신적 영감을 주는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로부두르의 역사, 구조, 건축 재료와 기술, 종교적 상징, 부조 조각, 발견과 복원, 그리고 오늘날의 문화적 의미까지 살펴보겠습니다.
# 보로부두르의 역사적 배경
보로부두르는 8세기 후반부터 9세기 초 사이에 인도네시아 자바섬 중부에서 번성했던 샤일렌드라 왕조(Sailendra dynasty)에 의해 건립되었습니다. 이 왕조는 대승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불교의 교리와 왕권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념비적 사원 건축을 추진했습니다. 이 사원은 자바어 산스크리트로 '산 위의 불교 수도원(Buddha-uhr = 보로부두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계단식 구조를 바탕으로 지어졌습니다.
# 보로부두르의 건축 구조
보로부두르는 평지가 아닌 언덕을 중심으로 세워진 계단식 석조 건축물로, 전체 높이는 약 35미터, 바닥 지름은 약 123미터에 달합니다. 그 구조는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9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불교의 우주론을 반영하는 다음과 같은 삼계 구조로 해석됩니다:
구분 | 층 수 | 상징 의미 |
---|---|---|
욕계 (Kamadhatu) | 하단 1층 | 인간의 욕망과 세속 세계 |
색계 (Rupadhatu) | 중간 5층 | 형상이 있지만 욕망에서 벗어난 단계 |
무색계 (Arupadhatu) | 상단 3층 | 형상과 집착이 없는 궁극의 해탈 경지 |
최상부에는 거대한 스투파(Stupa)가 있으며, 그 주변을 둘러싼 72개의 작은 스투파 안에는 각각 좌선 명상의 불상이 안치되어 있습니다.
# 건축 재료와 기술
보로부두르는 약 200만 개 이상의 안산암으로 지어진 건축물로, 시멘트나 접착제 없이 정교하게 맞물리는 건식 조립 방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수로 배수 설계 또한 정밀하게 계산되어 있어, 열대 몬순 기후의 집중호우로부터 내부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호합니다.
- 돌 위에 돌을 얹되, 돌 사이에 돌기와 홈을 만들어 고정
- 건물 내외부에 총 100개 이상의 배수 홈 설치
이는 고대 자바인의 건축 공학적 지식과 기술력이 매우 정교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 부조 조각: 석조 위에 새긴 불교 서사
보로부두르에는 약 2,672개의 부조 조각이 새겨져 있으며, 이들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불교 교리, 수행법, 석가모니의 생애, 자타카 이야기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석조 경전"입니다.
내용 | 설명 |
---|---|
카르마의 법칙 | 인간의 행위와 윤회의 원리를 묘사 |
자타카 | 부처가 과거생에서 수행자로 살았던 이야기 |
라리타비스타라 | 석가모니의 탄생, 깨달음, 설법의 생애 기록 |
간다비유하 | 선재동자의 구도 여정 |
조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순례자가 이 부조를 따라 걸으며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프라닥시나(Pradakshina)’ 동선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보로부두르의 종교적 상징성
보로부두르는 단순한 기념비가 아니라, 수행자들이 걷고 머무르고 묵상함으로써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공간입니다.
- 각 층은 불교의 세계관과 수행 단계에 따라 설계
- 최상단 중앙 스투파는 **‘공(空, Sunyata)’**을 상징하며, 비어있는 구조로 **무아(無我)**의 철학을 표현
- 정사각형에서 원형으로 이어지는 구조는 물질적 세계에서 비물질적 세계로의 전환을 상징
이처럼 보로부두르는 건축 자체가 하나의 불교 수행 과정이자 상징체계로 해석됩니다.
# 사원의 발견과 복원
보로부두르는 15세기 이후 자바섬에 이슬람이 전파되며 점차 폐사되고, 19세기 초까지 화산재와 숲 속에 묻혀 있었습니다.
- 1814년: 영국 탐험가 라플레스 경(Thomas Stamford Raffles)이 재발견
- 1907~1911년: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가 1차 복원
- 1975~1982년: 유네스코와 인도네시아 정부가 협력하여 대대적 복원 사업 시행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1991년 등록)**으로 등재되었으며, 지속적인 보존과 관리 하에 국내외 관광객과 불교 순례자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현대적 가치와 활용
보로부두르는 오늘날 단순한 유적지를 넘어, 종교, 문화, 관광, 교육, 평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와이사크(Waisak): '부처님 오신 날' 행사로 수만 명의 불교 신자가 순례
- 세계적 관광 명소: 매년 수백만 명이 방문
- 문화유산 교육: 인도네시아의 정체성과 문화 자긍심 강화
- 예술의 영감: 건축, 문학, 미술,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석
또한 보로부두르는 지속 가능 관광 모델, 디지털 문화유산 보존, 종교 간 평화 상징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론: 인간 정신의 석조 증언
오늘은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사원인 보로부두르의 역사적 배경, 건축 구조, 재료와 기술, 종교적 상징, 부조 조각, 발견과 복원, 그리고 현대적 가치와 활용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보로부두르는 건축, 조각, 철학, 종교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고대 문명의 걸작이자 인류 정신의 정수입니다. 8세기 고대 자바인의 석조 위에 새겨진 교훈과 상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삶의 본질과 수행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세계 최대의 불교 사원, 보로부두르는 역사적 유산을 넘어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문화 자산입니다.